대법원 판례 번호 : 대법원 2018.6.28. 선고 2013다28926판결
0. 근로시간과 휴게시간 구별의 실익
근로기준법 제50조에서 규정하는 근로시간에 해당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임금지급의무가 발생하므로 근로시간과 근로시간이 아닌 시간을 구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1. 근로시간의 개념
근로시간은 사용자의 지휘·감독 하에서 근로계약상의 근로를 제공하는 시간을 말한다. 현실로 작업에 종사하지 않은 대기시간이나 휴식시간, 수면시간 등의 명칭을 가진 시간이라 하더라도 근로자에게 자유로운 이용이 보장된 것이 아니고, 사용자의 지휘·감독 아래 놓인 시간이라면 근로시간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2. 근로시간과 휴게시간과의 구별
근로시간과 휴게시간의 구별은 특정 업종이나 업무의 종류에 따라 일률적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다. 이는
근로계약의 내용이나 해당 사업장에 적용되는 취업규칙과 단체협약의 규정,
근로자가 제공하는 업무의 내용 및 해당 사업장의 구체적 업무의 방식,
휴게 중인 근로자에 대한 사용자의 간섭이나 감독 여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휴게 장소의 구비 여부,
그 밖에 근로자의 휴식에 실질적으로 방해되었다거나 사용자의 지휘·감독을 인정할 만한 사정이 있는지와 그 정도 등
여러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별사안에 따라 구체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노동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차휴가 부여를 위한 출근율 산정 시 직장폐쇄 기간을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에 대한 판례입장 (1) | 2024.11.02 |
---|---|
포괄임금제의 개념과 묵시적 합의, 포괄임금제의 유효성에 대한 판례 (0) | 2024.11.01 |
통상임금 산정시 산입되는 임금인지를 판단하는 판례의 기본입장과 통상임금의 고정성 (0) | 2024.10.31 |
임금성 판단기준 중 근로의 대가와 관련한 판례의 입장 (1) | 2024.10.30 |
직장폐쇄기간을 평균임금 산정기간에서 공제할지 여부에 관한 판례 (0) | 2024.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