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기준법 3조
이 법에서 정하는 근로조건은 최저기준이므로 근로 관계 당사자는 이 기준을 이유로 근로조건을 낮출 수 없다
근로기준법 4조
근로조건은 근로자와 사용자가 동등한 지위에서 자유의사에 따라 결정하여야 한다.
근로기준법 15조
① 이 법에서 정하는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근로조건을 정한 근로계약은 그 부분에 한정하여 무효로 한다. <개정 2020. 5. 26.>
② 제1항에 따라 무효로 된 부분은 이 법에서 정한 기준에 따른다.
근로기준법 97조
취업규칙에서 정한 기준에 미달하는 근로조건을 정한 근로계약은 그 부분에 관하여는 무효로 한다. 이 경우 무효로 된 부분은 취업규칙에 정한 기준에 따른다.
노조법 제33조(기준의 효력)
①단체협약에 정한 근로조건 기타 근로자의 대우에 관한 기준에 위반하는 취업규칙 또는 근로계약의 부분은 무효로 한다.
②근로계약에 규정되지 아니한 사항 또는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무효로 된 부분은 단체협약에 정한 기준에 의한다.
'노동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인 근로자의 노조법상 근로자성에 관한 판례 (1) | 2024.11.12 |
---|---|
근로기준법상 근로자가 아닌 노동조합법상(노조법상) 근로자성을 판단하는 판례입장 (0) | 2024.11.12 |
기간제 근로자 차별의 판단기준에 관한 판례입장 (0) | 2024.11.11 |
직접고용의무에 따른 고용형태에 대한 판례 (1) | 2024.11.11 |
사용자의 단체교섭 거부의 기본적 정당성 판단기준 (0) | 2024.11.10 |